반응형

교통사고 직후에 당황하신 경우가 많으실텐데, 만약 지금 병원에 입원해서 뒤늦게 찾기 시작하셨다면 딱 맞는 정보입니다. 왜냐면 일단 치료를 시작 하셨다는 것이고 이 때 진행해야 하는 방법은 따로 있기 때문입니다. 

 

    1. 교통사고 직후
      1. 담당자와 심리전
      2. 협상 준비
      3. 협상 진행
    2. 총 정리

 

교통사고 직후

 교통사고 발생 직후 대인 접수가 지연되는 경우에도 즉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인 접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교통사고 피해자 직접 청구권'을 통해 가해자 보험사에 보상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제도는 피해자가 병원비를 선지급한 후 가해자 보험사에 청구하여 보상받는 방식으로,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 중 하나이기 때문에 꼭 챙기셔야 하는 권리 중 하나이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10년 전 한 후방 추돌 사고 사례에서 피해자가 빠르게 병원과 한의원을 방문해 치료를 시작했고, 이후 가해자 보험사에 직접 청구하여 대인 접수를 진행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었고, 대인 접수 지연에도 신속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증거 아니겠습니까?ㅋㅋㅋ

 

담당자와 심리전

 담당자와의 협상 과정에서 심리전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담당자들은 피해자를 빠르고 적은 금액으로 합의하려는 경향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기분 나쁠게 아니라 그냥 그 사람도 직업에 충실한 것 뿐이니 우리도 그냥 권리에 충실하면 됩니다. 스트레스 받지마세요.

 

  • 전화 잘 받지 않기 : 초기에는 담당자 전화에 일부러 응답 안해도 됩니다.
  • 합의금 이야기 시 생각해 보겠다고 답하기 : 즉답을 피하고, "생각해 보겠다"고 말하며 시간을 벌어 보세요.
  • 가족 또는 전문가와 상의한다고 말하기 : "손해사정사나 변호사와 상의하겠다"는 핑계도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일반 사람의 기준에는 그냥 법률 이야기만 들어도 조금 겁 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니 일단 차분하기 위해서 시간을 벌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천천히 충분히 자료를 찾아 보시고 후회 없는 합의로 마무리 하셔서 건강한 삶 보내셨으면 좋겠으니까요!

 

협상 준비

 '교통사고 피해자 직접 청구권'은 가해자가 대인 접수를 거부하는 경우 피해자가 직접 가해자 보험사에 치료비를 청구할 수 있는 제도거든요? 필요한 서류가 몇 가지 있기는 합니다. 치료 진행 하시면서 해당 서류를 주변 가족이나 지인에게 미리 부탁을 해두시는 것도 추후 법적 공방에서 정말 유리합니다.

 

  • 교통사고 사실확인서
  • 초진 기록지
  • 진단서
  • 치료비 영수증

 

 

 위 서류를 준비하여 가해자 보험사에 제출하면, 보험사는 피해자가 지불한 치료비를 보상해야 하는 법적 진행 절차를 진행하게 되요. 그러니 무섭더라도 이 제도를 잘 활용하면 보험사와 동일 선상에서 협상이 진행되기 때문에 적어도 손해보면서 사고의 아픔을 달래는 상황은 벌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왜냐면 가해자 측에서 대인 접수 거부를 할 수도 있는데, 법적인 내용 때문에 겁나서 발생하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거든요.

 

협상 진행

 합의금 협상에서 피해자가 유리한 상황에서 진행 하시려면 몇 가지 팁이 있거든요? 나쁘거나 이상한게 아니라 그냥 우리가 협상에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겁니다.

 

  1. 담당자 전화를 간헐적으로 받기
  2. 협조적인 태도 유지
  3. 적정 금액 제안 유도
  4. 단계적 협상 전략

 한국 사람들 특징이 진짜 착합니다. 그런데 자존심이 밟히는건 다른 이야기 입니다. 자존심이 밟히면 화가나서 더욱 뭔가 하고 싶어 지잖아요? 그러니 우리 처음부터 착하게 시작하고 착하게 끝냈으면 좋겠습니다.

 

복잡하기 싫고, 사고의 규모도 일정 규모 이상이시라면 법무사나 손해사정사를 끼고 진행 하시기를 강력 추천드립니다! 그 쪽 법률 지식은 우리가 전혀 상상도 할 수 없는 단어 하나로 인해 큰 차이를 만들어 버리기도 하거든요.

 

 

총 정리

  • 전화 응답을 지연하여 담당자를 긴장하게 만듭니다.
  • 합의금 제안에 즉시 답변하지 말고, 시간을 벌어 재협상 여지를 만듭니다.
  • 전문가와 상의한다는 인식을 심어 피해자가 쉬운 상대가 아님을 알립니다.
  • 협상 중 감정적인 대응은 피하고 협조적인 태도를 유지합니다.
  • 법적 절차를 활용해 피해자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합니다.

대략적으로 정리는 해봤는데, 이런식으로 대응 하신다면 충분히 괜찮은 결과로 보상 받으실거라 확신 합니다. 사고는 어쩔 수 없지만 인생은 재밌고 만족하면서 살아야 하지 않을까요?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